1. 추상화 개요


React에서의 추상화는 복잡한 기능이나 구현 세부 사항을 숨기고, 사용자에게 간단하고 명확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스

사용자는 버튼의 기능은 알지만 버튼 내부는 어떻게 구현되어있는지 모른다.

사용자는 버튼의 기능은 알지만 버튼 내부는 어떻게 구현되어있는지 모른다.

추상화를 통해 이를 통해 개발자는 내부의 복잡성에 대해 걱정하지 않고, 보다 중요한 애플리케이션 로직에 집중할 수 있다. 따라서 혼자 일할 때는 추상화의 필요성이 낮을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동일한 레포지토리를 수정하기 시작하고, 내가 모르는 변경 사항들이 코드 베이스에 마구 쌓이기 시작하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이럴 때 커뮤니케이션은 최고의 추상화 수단이다.

“둘이서 협력하면서 작업하면 서로 시각이 다르기 때문에 두 사람의 다른 시각을 연결해 줄 다리가 필요하고, 그 다리에는 필연적으로 추상화의 요소가 있게 됩니다. 서로 다른 것들을 하나로 묶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혼자서 작업할 경우에는 이런 추상화의 필요가 덜합니다.” - 함께 자라기, 124p

“자신이 작성하는 코드의 추상성을 높이고 싶다면 혼자서 고민하지 말고 다른 사람들과 협동하고, 대화하세요. 같이 그림도 그려보고 함께 소스코드를 편집하세요. 인간에게는 다른 인간과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는 놀라운 능력이 있습니다. 대화는 기적입니다.” - 함께 자라기, 128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