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m install -g typescript ts-node
-g : 전역 설치 (어느곳에서든 어느 디렉토리에서든 사용할 수 있음)
typescript : typescript 설치
ts-node : ts-node 설치
tsc --init
// tsconfig 파일 생성
tsconfig.json 파일을 생성하는 이유
기본적으로 소스 폴더와 그리고 컴파일 이후에 실행파일들을 구분하기 위해
ex) hello.ts
console.log("Hello TypeScript");
ex) tsconfig.json
{
"compilerOptions": {
"strict": true, // 모든 엄격한 타입 검사 옵션을 활성화 (false로 해놓으면 의미가 없음)
"module": "commonjs",
"moduleResolution": "node", // module 키의 값이 commonjs면 node, amd이면 classic
"lib": ["es2015","es2016","es2017","es2018","es2019","es2020"], // 몇 버전까지의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할 수 있게 설정
"target": "ES5", // 트랜스파일할 대상 자바스크립트의 버전을 설정, 타입스크립트의 코드가 해당 버전으로 트랜스 파일된다.
"outDir": "./dist", // baseUrl 설정 값을 기준으로 했을 때 하위 디렉토리의 이름 , 여기서는 dist 디렉토리에 빌드된 결과가 들어간다.
"esModuleInterop": true // true로 설정해놓으면, export default가 없는 라이브러리도 * as를 사용하지 않고 불러올 수 있다.
},
"exclude": ["node_modules"],
"include": ["src/**/*"]
}
// 엄격하게
ex. 2) tsconfig.j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