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SSG 개념


정적 사이트 생성은 웹을 빌드시 모든 파일을 정적 html로 생성하고 서버에 업로드하고 클라이언트 request에 대해 정적 html 파일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빌드시 모든 포스트를 정적 사이트 생성기를 사용하여 HTML 로 생성하고 이 정적 HTML 파일을 서버에 올린다.

그러면 각 포스트에 대해 클라이언트로부터 request를 받았을 경우 그냥 저장되어 있는 HTML 파일을 전송만 해주면 된다.

이 때 SSR과 다른 점은, SSG는 이미 HTML 파일이 생성되어 있으므로 렌더링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정적 사이트 생성기로는 Next.jsGatsbyJekyll 등이 있다.

장점

단점

3. SSG 요약


SSG(getStaticProps)의 기본 동작 방식은 빌드 시점에 데이터를 가져와 정적 HTML로 만들어 두는 것이므로,

새로고침(브라우저에서 페이지를 다시 요청)하더라도 빌드 당시에 생성된 HTML을 그대로 서빙한다.

즉, 유저가 페이지를 다시 로드하더라도 서버에서 API를 새로 호출하지 않고, 배포 시점에 생성해 두었던 HTML(및 JSON)을 그대로 보여주게 된다.

(단, Next.js의 Incremental Static Regeneration(ISR) 기능을 적용하면 특정 주기로 새로 빌드하여 변경 사항을 반영할 수 있다.)